전철우 원장의 다한증 상담과 치료 설명
전철우 원장의 다한증 상담과 치료 설명
전철우 원장의 다한증 상담과 치료 설명
매운 것을 먹으면 왜 땀이 날까요? 우리나라의 음식에는 고추가 많이 들어갑니다. 이 고추에는 여러 영양성분들이 있는데, 특히 캡사이신(capsaicin) 이라는 성분이 매운 맛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매운 맛이라는 것은 다른 맛에 비해 특이한 면이 있습니다. 혀를 보면 각 맛마다 담당하고 있는 구역이 있습니다. 단맛은 혀의 앞부분, 쓴맛은 혀의 뒷부분, 신맛은 혀의 양 옆 부분, 짠맛은 혀의 중간부분에 걸쳐 [...]
에비타흉부외과에서 다한증 땀주사 시술시 사용하고 있는 마취스프레이를 소개합니다. Ethyl choride Spray 특성 본 제품은 환부를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스인 Eth** chlride 가 일정 압력하에 주석(TIN)으로 된 가스용기에 액화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환부에 분사된 Eth** chlride 가 기화되어 환부를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국소 혈관 수축작용으로 근육의 심한 충격부위를 국소 마취시켜 근육통의 통증 완화 및 부종을 경감시켜주며 이어지는 혈관 [...]
안녕하세요. 에비타 흉부외과 다한증 클리닉입니다. 다한증 진료를 할 때나 인터넷으로 상담을 할 때, 간혹 "술을 마시면 땀이 덜 나는 것 같다."며 넌지시 말을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 말은 실제로 맞는 말이기는 합니다. 그 이유는 술 (알코올)은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중추신경은 일반적으로 뇌부분과 척수부분을 말합니다. 발한을 유발하는 교감신경도 그 뿌리는 중추신경에 두고 있습니다. [...]
근래에 다한증에 GABA라는 물질이 효과가 있었다는 체험수기가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진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 GABA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명 “가바”라고 불리는 이 물질의 원래 이름은 gamma-aminobutyric acid입니다. 이는 포유류의 뇌 속에서 존재하여 중추신경계에서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막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쉽게 말하면 신경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는 GABA는 GABA A수용체에 [...]
최근에 다한증이신 분들이 마그네슘을 복용하기도 하고, 그 역할에 대해서 문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에, 마그네슘 성분에 대한 정리를 해드리겠습니다. 마그네슘의 역할은 다양한 편입니다. 포도당에서 ATP를 생산할 때 관여하는 7개의 효소과정이 마그네슘을 필요로 하고, 세포벽의 구성물질이자 내분비물질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의 생산과 단백질의 합성에도 마그네슘이 필요합니다. 특히 마그네슘은 cAMP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심장의 생리적 활성에 중요한 조절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에비타 다한증 클리닉 김동현 원장 입니다. 국소도포제는 쉽게 말하자면 바르는 약 입니다. 바르는 약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제가 바로 염화 알루미눔 6 수화물 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제품이 20%의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다양한 이름의 제품이 출시되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약이 바로 '드리클로' 입니다. 그 밖에 '데오클린', '데오클렌', '노스엣' 등 [...]
안녕하세요. 에비타 흉부외과입니다. 바르는 약을 사용할 때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이 원칙을 잘 지키지 않는다면 효과를 못보는 경우가 많으니, 잘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1) 우선 약을 바르려는 부위의 피부가 최대한 건조한 상태여야 합니다. 땀이 나 있는 경우는 약이 피부에 닿지 못하고, 흘러 내려갈 가능성이 많고, 약 성분과 땀이 결합하여 피부 자극 증상을 유발할 수 [...]
간혹 진료를 하다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아는 사람 중에 염화 알루미눔을 따로 구입하여 본인이 약을 제조하는 분이 있는데, 이렇게 개인이 제조한 약이 안전할까요?" 약을 개인적으로 제조한 분의 심정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약물의 안전성 차원에서 생각해 볼 때는 우려를 금할 수는 없습니다. 이미 여러 제약회사에서 제품화가 되어 출시된 것은 염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