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 치료를 위한 ‘국소도포제’에 대하여
국소도포제는 쉽게 말하자면 바르는 약입니다. 바르는 약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제가 바로 염화 알루미눔6 수화물 입니다.
국소도포제는 쉽게 말하자면 바르는 약입니다. 바르는 약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제가 바로 염화 알루미눔6 수화물 입니다.
질문> 드리클로 바르고나서 바르고나서 굳이 팔 안벌리고잇어도 되죠 ? 답변>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상담의 전철우 입니다. 문의하신 약물은 앙루미늄 클로라이드 성분의 발한억제제로서 건조한 상태에서 사용하셔야 효과가 좋으며, 사용 후 피부에 골고루 흡수될 때까지는 잠시나마, 환기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문의하신 약물은 일반의약품이므로 구입한 약국의 약사에게나 제품설명서를 숙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드리쿨롸 데오클렌같은 땀 억제제를 두피에 발라도 되나요? 머리부분에서 땀이 너무 많이 납니다... 답변> 문의하신 제품은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성분으로 주 기능은 땀이 나는 입구 부분을 막아서 땀이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겨드랑이 등의 경우에는 효과와 만족도가 높지만, 두피의 경우에는 머리카락 등으로 제대로 땀구멍을 막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얼굴등의 피부가 약한 부분에는 소양감이나 [...]
질문> 겨드랑이에 땀이 많이나서 드리클로를 사용했습니다 일주일도 사용하지 않았고 3번 4번 바르다가 그쳤는데 그 후에 땀냄새가 역해졌습니다 평소 땀이 많이나긴해도 냄새가 그리 심하진 않았는데 지금은 시큼한 냄새?가 (독한 약같은거 먹으면 나는 오줌 냄새와 비슷한거 같기도 합니다) 엄청 심해지고 괜찮진거같다가 다시 심해진거 같고 지금 임시방편으로 데오드란트를 발랐는데 잘때 바르면 안될거같습니다 이러다 마는건지 아니면 액취증이 생긴?건지 모르겠습니다 [...]
질문> 드리클러.. 그런거하면 건강에문제가된다거나 어른이되거나 늙어서 피부암이오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하이닥-네이버 지식iN 흉부외과 상담의 전철우 입니다. 다한증 치료제로 쓰이는 발한억제제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성분의 약제에 대해서 문의를 하셨네요. 문의하신 약제는 다한증 치료에 있어서, 대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이 약물은 땀자체의 생성을 막는 것이 아니고, 땀구멍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간혹, 피부자극감으로 발진, 소양감 등이 생기기도 하고, [...]
문의하신 약물은 다한증 치료에 사용되는 국소도포제, 일반의약품입니다. 이 제품들의 성분은 염화 알루미늄 수화물 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제품이 20%의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다양한 이름의 제품이 출시되는데, 상품명으로 '드리클*', '데오클*', '데오클*', '노스*' 등 다양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이 제품의 경우에는 식약청 허가사항으로 손발, 겨드랑이의 다한증에 대해서만 사용하라고 되어 있으며, 눈이나 입 등의 점막부위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
1. 드리클로를 바르면 뛰어도 땀이 안나는가? 드리클로에 대한 반응 및 효과는 각 개인마다 차이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의하신 분께 얼마나 효과가 있을 지는 알 수 없겠죠. 2. 드리클로가 등에도 효과가 있는가? 드리클로는 손, 발, 겨드랑이에 바르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하지만 등에도 시도는 해 볼 수 있겠지요. 드리클로는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없는 일반의약품이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안전한 편 [...]
안녕하세요. 에비타 다한증 클리닉 김동현 원장 입니다. 국소도포제는 쉽게 말하자면 바르는 약 입니다. 바르는 약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약제가 바로 염화 알루미눔 6 수화물 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제품이 20%의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다양한 이름의 제품이 출시되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약이 바로 '드리클로' 입니다. 그 밖에 '데오클린', '데오클렌', '노스엣' 등 [...]
간혹 진료를 하다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아는 사람 중에 염화 알루미눔을 따로 구입하여 본인이 약을 제조하는 분이 있는데, 이렇게 개인이 제조한 약이 안전할까요?" 약을 개인적으로 제조한 분의 심정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약물의 안전성 차원에서 생각해 볼 때는 우려를 금할 수는 없습니다. 이미 여러 제약회사에서 제품화가 되어 출시된 것은 염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