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취증과 다한증의 두 질환 모두 피부에 있는 한선(땀샘)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우선 땀을 분비하는 한선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질환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선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인 땀의 중요한 작용은 증발열의 발산에 의해 체온을 조절하고
피지와 함께 피부의 건조를 막아 피부의 표면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땀의 성분
땀은 99%이상이 수분이고 나머지가 염분, 요소나 유산 등이 들어있습니다.
하루에 흘리는 땀의 양은 600~700cc정도인데, 한여름이나 근육운동을 하거나
격심한 운동을 하였을 때는 10L에 달하기도 합니다.
땀은 온몸에 분포하고 있는 에크라인(eccrine)선과 아포크라인(apocrine)선에서 분비됩니다.
한선의 수는 200만~500만개가 있고, 손바닥이나 발바닥, 겨드랑이에 많습니다.
발한에는 주위의 기온이 높거나 운동 등에 의해 열이 났을때 나오는 온열성 발한과
정신적 긴장이나 감각적 자극에 의해 나오는 정신성 발한이 있습니다.
온열성 발한은 대개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한 온 몸에서 나는데 반하여
정신성 발한은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에서 주로 납니다.
신맛이나 매운맛 등 미각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발한을 미각성 발한이라고 합니다.
한선(땀샘)
피하조직내에 있는 피부선의 하나로 땀을 분비하는 외분비선이며 땀샘이라고도 합니다.
한선은 에크라인선과 아포크라인선 두가지가 있습니다.
- 에크라인선
에크린땀샘(Eccrine Sweat Glands)은 체온 조절을 하는 땀샘으로
2~3백만개의 땀샘이 한시간에 2,000~3,000CC의 땀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에크라인선은 입술의 경계부, 조갑상, 소음순, 귀두부, 포피의 안쪽을 제외한 피부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특히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및 이마에 많이 존재합니다.에크라인선의 주기능은 저장액을 생산하여 증발시 체온을 낮추는 기능을 합니다.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이마에 존재하는 에크라인선은 온도자극 이외에
정신적 자극에도 반응하여 통증, 공포, 분노 시에 발한하기도 합니다.
에크라인선은 진피 및 피하지방층 경계부 또는 진피의 아래쪽 1/3에 존재하며
피하지방층과 연결되는 지방조직에 둘러쌓여 있습니다.
땀의 분비는 열과 정신적 자극이 중요하며 뜨거운 온도 보다는
심리적인 요인에 아주 빨리 자극을 받습니다.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콜린성 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 아포크라인선
아포크라인선은 발생과정, 분포, 크기 그리고 분비양상에 있어
에크라인선과 차이가 있습니다. 에크라인선이 체온을 조절하는데 반하여
아포크라인선은 체취를 내게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체취를 내게하는 기능은 동물에서는 방어나 성적인 기능을 하지만
사람에게서는 어떤 기능이 있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아포크라인선은 에크라인선의 발생과는 달리 모발, 피지선과 함께 유래하며
대부분 아포크라인선의 관은 피지선관보다 위에서 모낭의 윗부분과 연결되지만
때로는 모낭과 근접한 피부표면으로 직접 연결되기도 합니다.
아포크라인선은 주로 겨드랑이, 회음부, 외이도, 눈꺼풀, 유두 주위에 존재하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견되기도하나 이런 경우는 대게 작고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아포크라인선은 사춘기가 되어야 분비부가 발달하여 기능을 시작하게됩니다.
아포크라인선은 분비부, 진피 내 한관, 표피 내 한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리모양의 분비부는 피하지방층에 존재합니다.아포크라인선의 분비는 국소적 혹은 전신적인 아드레날린성 성분의 자극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분비관을 통한 분비물의 배출은 발작적이며 자극 및 분비 후에는 오랫동안 휴지기를 가집니다.
아포크라인선의 분비물의 성분에 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기름기가 있고
색깔이 없으면서 냄새도 나지 않는 물질을 분비합니다.
액취증은 아포크라인선에서 분비되는 땀 자체가 원인은 아니고 피부나 겨드랑이에서 분포하는
세균이 땀의 분해하면서 지방산과 암모니아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몸 속 대부분의 장기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으나
한선(땀샘), 기모근 일부 혈관은 교감신경의 지배만을 받습니다.
이중으로 지배되는 장기에서는 이 두 신경이 서로 길항적으로 작용합니다.
자율신경계는 장기 기능을 원만히 조정함으로써 몸속 내부환경을
언제나 일정한 항상상태(homeostasis)로 유지하게 합니다.
한선은 자율신경 지배가 독특한데 대부분의 장기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 것과 달리
교감신경의 지배만을 받으며 다른 교감신경 말단에서는 cathecholamine이 작용하는데 반하여
한선에서는 acetylcholine이 주로 작용하는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