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이제 보상성 다한증의 치료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다른 부위의 일차성 다한증과 마찬가지로
보상성 다한증 역시 대부분 증상완화적인 치료가 핵심입니다.
우선 광범위한 부위에서 발한이 발생할 경우에는 국소적인 치료법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는 경구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구 약물은 원래의 목적이 아닌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별로 효과나 불편증상의 발생여부가 다양한 편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방하는 의사와의 자세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이전 칼럼에서 언급했듯이 보상성 다한증의 호발부위는 등, 배, 가슴 등의 체간입니다.
체간의 경우에는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보툴리눔 톡신의 경우 하루에 적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만큼 자세한 상담을 통해 투여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체간 부위 중 범위가 넓지 않은 경우에는 바르는 약도 가능합니다.
바르는 약은 염화 알루미눔 성분과 글리코피롤레이트 성분의 두 종류 제제가 있는데,
주로 글리코피롤레이트 성분의 약을 사용합니다.
염화 알루미눔 성분의 경우 피부자극증상이 더 강한 편이고 피부변색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체간 부위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는 넓적다리 부위나 서혜부,
그리고 안면 및 두피부분도 위에서 언급한 방법들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 코, 입이나 생식기부분과 같이 민감한 부분들은
무리하게 발한억제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의 교감신경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보상성 다한증 치료를 위해 종아리나 늑간 신경의 일부를 채취하여
신경 재건술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성공률이 일정치 않아
아직 널리 시행되고 있지는 못합니다.
이온영동법은 아직 손, 발, 겨드랑이 부위 외에는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여러 기관에서 체간부 및 두피부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발표하는 것을 보았을 때
조만간 이온영동법의 적용범위가 넓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연구결과들의 추이를 지켜볼 때에
신경재건술 보다는 이온영동법의 적용범위 확장이
좀 더 빠른 속도로 현실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정확한 예측은 어렵습니다.)
또한, 기존의 교감신경절제술을 대신하여 시행하였던 클립 차단술은
근래에 발표된 논문들을 보아도 보상성 다한증을 줄일 수 있는
유용성에 대해서는 아직 전문가들마다 의견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직 클립 수술 후 보상성 다한증이 발생하였을 때,
클립을 제거한다고 하여 보상성 다한증이 확실히 호전된다고
장담하기 어려운 만큼 아직까지는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인지를 하셔야 할 것 입니다.
이렇듯 보상성 다한증은 여러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일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를 판정해야 하겠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방법들의 혼합이 필요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는 의료진과의 자세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에비타흉부외과 다한증 클리닉을 방문하시면,
좀 더 자세하고 개인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찾는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 입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