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을 치료하는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

 

d349a2b4f1d8896d94e8cbd753e85285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이란?

다한증 치료에 있어서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은 근래들어 각광받고 있는 치료법 입니다.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은 말 그대로

손, 발, 겨드랑이, 안면 및 두피부, 체간부 등

발한억제의 목표가 되는 부분에 보툴리눔 톡신을 주사로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국외에서는 1996년 경부터 보툴리눔 톡신을 투여한 부분에서

발한이 감소한다는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보툴리눔 톡신을 다한증 치료에 응용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국내에는 약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이 되어

소수의 의료기관에서 선별적으로 사용이 되어왔습니다.

그 이후 점차 국외, 국내의 연구결과들이 축적되고,

보툴리눔 톡신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이 다한증 치료방법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이 작용하는 기전은?

발한에 작용하는 신경은 콜린성 교감신경이며,

이 신경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가 되고,

아세틸콜린이 땀샘의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면

땀분비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보툴리눔 톡신은 이 신경의 말단부분에 들어가서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땀 분비를 억제하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보툴리눔 톡신이 신경의 말단부분에 들어가면

투여 후 약 2~3주 정도에 가장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게 되고,

투여 후 평균 2~4개월 정도 경과하여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개개인마다 효과 유지기간은 다양한 편입니다.

 보툴리눔 톡신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시술이 간편한 편입니다.

– 시술 후 곧장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합니다.

– 유지기간이 다른 비수술적 방법에 비해 긴 편입니다.

– 전신적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2. 단점

– 주사법이기 때문에 시술시 통증이 있습니다.

– 간혹 시술 후 시술부위가 지나치게 건조해져서 보습크림 등을 일시적으로 발라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 수술적인 방법과는 달리 효과가 영구적이지는 않습니다.

– 다른 방법에 비해 고가입니다.

 보툴리눔 톡신의 시술가능한 부위

 손, 발, 겨드랑이, 안면 및 두피부, 체간부, 엉덩이, 항문부위 등

몸의 대부분의 부위가 시술이 가능합니다.

다만 각 부위에 따라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으며,

선택용량 및 유지기간은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넓은 부위는 한번에 커버가 어렵기 때문에

타겟이 되는 부위를 정해서 시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사항

– 여성일 경우에는 임신/수유 예정이거나 임신/수유 중일 경우에는 금지입니다.

– 특별히 약을 복용하고 있거나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에게 고지해야 합니다.

– 간혹 투여부위의 근력저하나 구강건조 등 불편증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기 때문에 너무 염려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시술 후 불편한 증상이 발생한다면, 병원에 알려주시고 필요한 조치를 시행받으시기 바랍니다.

다한증 치료에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By |2016-12-14T09:49:10+09:0011월 1st, 2013|다한증|0 댓글

글이 마음에 드세요? 다른 사람과 공유하세요!

About the Author: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자신감..에비타흉부외과 한국 홈페이지 관리자입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카카오톡 상담하기

Go to Top